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좋은 요양원 고르는 방법 (+체크리스트 가져가세요!)

by Stargreen 2025. 3. 27.
반응형

좋은 요양원 고르는 법 – 보호자가 꼭 물어봐야 할 10가지 질문

요양등급도 나왔고, 이제 요양원만 잘 고르면 끝이다… 싶었는데,
막상 요양원 알아보려니까 또 막막하죠?

 

“도대체 좋은 요양원은 어떤 곳을 말하는 걸까?”
“시설만 깨끗하면 되는 걸까?”
“간병이 잘 되는지는 어떻게 확인하지?”

저도 부모님을 처음 요양원에 모시기 전엔 정말 수십 군데를 알아봤어요.


그때 느낀 건, 겉만 보면 절대 모르겠다는 거였어요.

그래서 오늘은 보호자 입장에서
좋은 요양원을 고를 때 꼭 물어봐야 할 질문 10가지를 정리해볼게요.
실제로 제가 직접 물어봤던 것들만 담았습니다.

 

 

🟡 1. “야간에도 간호 인력이 상주하나요?”

낮엔 간호조무사나 요양보호사가 있어도,
밤에 누가 어르신을 돌보는지 꼭 확인하셔야 해요.

야간 근무자가 없거나, 혼자 보는 구조면 사고 시 대응이 늦을 수 있어요.


🟠 2. “응급상황 발생 시 어디로 연계되나요?”

요양원은 병원이 아니기 때문에
응급상황이 생기면 외부 병원으로 이송돼요.
가까운 협력 병원이 어디인지, 119 호출 체계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세요.


🔵 3. “식사는 어떻게 제공되나요? 직접 조리하시나요?”

음식이 중요한 어르신들에겐
영양도 중요하지만 맛과 정성이 더 중요해요.
▶️ “공급업체 음식인지, 자체 조리인지”
▶️ “치아 상태에 따라 다진 음식 제공이 되는지”
▶️ “특별식이나 간식은 나오는지”
이런 걸 꼭 물어보세요.


🟣 4. “낙상 사고가 발생한 적 있나요?”

솔직한 요양원은 이런 질문에 숨기지 않아요.
낙상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듣는 게 핵심입니다.
“낙상 후 보호자에게 얼마나 빨리 연락했는지”까지 확인하세요.


🔴 5. “어르신 한 분당 요양보호사 몇 분이 배정되나요?”

요양원은 보통 인원 배정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만,
실제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케어되고 있는지는 시설마다 달라요.
“보호자가 방문하지 않는 시간에 어떻게 관리되는가”가 중요해요.


🟢 6. “면회는 어떻게 하나요? 자유롭게 가능한가요?”

코로나 이후로 면회 제한이 걸린 곳이 많아졌어요.
지금은 면회가 가능한지, 시간과 방식은 어떤지 꼭 확인하세요.
▶️ 영상 면회만 가능한지
▶️ 방문은 어디서, 얼마나 자주 가능한지


🟤 7. “프로그램이 어떤 게 있나요?”

요양원도 그냥 하루종일 누워 있는 곳이 아니에요.
▶️ 미술, 노래, 체조, 인지훈련 같은 프로그램이 꾸준히 있는지
▶️ 외부 강사나 자원봉사 프로그램은 있는지도 확인해보세요.
활동이 많을수록 어르신의 정서와 인지 기능에 좋아요.


⚫ 8. “화장실과 샤워실은 어떤 구조인가요?”

▶️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지
▶️ 미끄럼 방지 바닥인지
▶️ 문은 밖에서 열 수 있는 구조인지
▶️ 샤워는 주 몇 회 제공되는지

요양원 고를 때 ‘화장실 구조’ 꼭 보세요. 어르신들에겐 정말 중요해요.


⚪ 9. “장기요양평가 등급은 어떻게 되나요?”

요양원도 국가에서 평가를 받습니다.
A등급이면 우수한 시설로 인정받은 거고,
C, D등급은 관리가 소홀한 경우가 많아요.
▶️ 최근 평가 결과가 어땠는지
▶️ 공개 가능한지 물어보면 좋습니다.


🟠 10. “이곳에 부모님을 모셨던 보호자들의 후기는 어떤가요?”

솔직히 제일 중요한 건 직접 경험한 사람의 후기에요.
▶️ 네이버 후기
▶️ 맘카페
▶️ 시설장에게 “보호자 인터뷰 가능한가요?”라고 물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.


✅ 요약 – 좋은 요양원 고르는 체크포인트

✔️ 야간 인력, 응급 대응 시스템
✔️ 식사 품질프로그램 다양성
✔️ 시설 구조청결 상태
✔️ 실제 보호자 후기가 좋은 곳
✔️ 장기요양평가 A등급 여부


 

좋은 요양원을 고른다는 건,
단순히 부모님을 맡길 곳을 고르는 게 아니라
우리 가족이 평생 안심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는 일이에요.

눈에 보이는 것보다, 대화하면서 느껴지는 분위기를 꼭 기억하세요.
그리고 너무 조급하게 결정하지 않아도 괜찮아요.
저도 수십 군데를 둘러보고 나서야, “여긴 진짜 괜찮다” 싶은 곳을 찾았어요.